★ 평가 도구 및 책 ★

**GMPM(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소개합니다.**

고주연(Jooyeon Ko) 2014. 3. 11. 11:37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적 임상의사결정 도구센터 지킴이 고주연입니다.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GMPM; 대동작수행력평가)는 뇌성마비아동의 운동수행능력을 질적인운동요소(movement quality component)측면에서 평가하는 것으로, GMFM의 2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대상: 뇌성마비아동

2. 점수체계: 5점 척도이며 점수범위는 0-100점입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예쁜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1점 

 severely abnormal

 2점

 moderately abnormal

 3점

 mildly abnormal

 4점

 inconsistently normal

 5점

 consistently normal

 3. 항목

 눕기와 뒤집기 영역 

 8,9,11,12,13,16,17번

 앉기 영역

 22,25,31,32,34번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영역

 39,41,45,50번

 서기 영역

 54,55,56,60,62번

 걷기, 달리기 그리고 깡충뛰기 영역

 65,66,69,71,82,83번

4. GMPM의 움직임의 5가지 질적인요소

  • Dissociated movement
  • Coordination
  • Alignment
  • Weight shift
  • Stability

 

5. 점수계산: 5개의 질적인 요소에 대한 개별 총점과 전체총점으로 계산됩니다.

6. 임상적용

  • GMFM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GMFCS level이 낮은, 즉 기능적 수준이 낮은 아동의 단기적 및 장기적 치료목표를 설정하는데 유용합니다. 
  • 기능이 높은 아동이라도 질적인 평가를 통해 또래아이들만큼 예쁘게 움직이지 못하는 이유와 dynamic한 움직임의 수행이 왜 어려운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GMPM을 임상에 적용할 때 GMFM보다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지만, practice를 거쳐 움직임의 질적인 요소들을 이해하고 나면 GMFM과 함께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7. K-GMFM과 GMPM에 관한 신뢰도 논문을 '관련연구'방에 첨부합니다.